전체 글329 24절기 중 한로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다섯 번째 가을 절기인 한로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한로는 양력 10월 8일에서 9일경으로, 찬 이슬이 내린다는 뜻에서 한로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한로 - 양력 10월 8일~9일, 찬 이슬이 내림 한로는 음력으로 9월에 해당하는 절기로 공기가 차츰 서늘해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차가운 공기를 만나 서리로 바뀌기 직전의 시기를 말합니다.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여서 기온이 더 떨어지기 전 작물의 수확을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모든 작물의 수확을 위해 타작이 한창 진행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여름철의 꽃은 거의 다 지고 울긋불긋하게 단풍이 짙어지며, 제비와 같은 여름 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풍속 중국에서는 중앙절과.. 2022. 10. 2. 24절기 중 추분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네 번째 가을 절기인 추분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추분은 양력 9월 22일~24일경으로 춘분과 마찬가지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시기이지만, 온도는 추분이 약 10도가량 높습니다. 추분 - 양력 9월 22~24일경, 밤이 길어지는 시기 24절기 중 16번째 절기로 백로와 한로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음력으로는 보통 8월에 들게 되며. 이 날 추분점에 이르면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게 됩니다. 춘분과 같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지만 춘분보다는 추분의 평균 기온이 대략 10도 정도 높은데, 그 이유는 아직 추분이 올 시기에 여름의 더위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풍속 이 시기 전후로 논밭의 곡식을 거두며 고추 및 목화를 따.. 2022. 10. 1. 24절기 중 백로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세 번째 가을 절기인 백로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백로는 양력 9월 7일 또는 8일경으로, 하얀 이슬이라는 뜻이며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백로 - 양력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 15번째 절기로 음력으로는 8월에 위치하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백로라는 이름은 하얀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사물에 이슬이 맺히는 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무렵에는 무더위와 장마도 끝난 후라 맑은 날씨가 지속되지만, 우리나라는 지역 특성상 남쪽에서부터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작물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풍속 추수할 때가 점점 가까워지.. 2022. 9. 30. 24절기 중 처서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두 번째 가을 절기인 처서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처서는 양력 8월 23일에서 24일경으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처서 - 양력 8월 23일 또는 24일, 일교차 커짐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입추와 백로 사이에 있으며 양력 8월 23일 무렵, 음력으로는 7월 15일 무렵 이후가 됩니다. 여름의 끝자락에 다다라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느껴지는 시기로, 이름에 더위가 그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풍속 뜨거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의 생장이 더뎌지므로 최근까지도 추석 전 처서 즈음에 논두렁의 풀을 베거나 산소의 벌초를 많이 진행합니다. 옛날에는 이 무렵 장마 동안 젖은 옷이나.. 2022. 9. 29. 24절기 중 입추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첫 번째 가을 절기인 입추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확실하고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입추는 양력 8월 7일 또는 8일경으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이날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로 구분합니다. 입추 - 양력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인 입추는 양력으로 8월 7~8일경으로 대서와 처서의 사이에 있으며,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대표적인 절기입니다. 입추가 가을의 시작을 알린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한낮 무더위가 계속되고 삼복 중 말복이 되기도 전이라 절기상 가을이지만 날씨상으로는 여름 계절이 지속되는 시기입니다. 풍속 추수가 다가오는 시기이니 만큼 농사와 관련한 날씨점을 치는 풍속이 많은데, 입추에 하늘이 맑으면 모든 작물이 .. 2022. 9. 28. 24절기 중 대서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마지막 여름 절기인 대서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대서는 양력 7월 22일 또는 23일경으로, 더위가 최고조에 이르렀음을 알려주는 시기입니다. 대서 - 양력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한 때 열두 번째 절기이자 여름 절기 중 마지막 절기인 대서는 이름만큼 더위가 가장 심한 때로,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입니다.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으며 이때는 대게 중복 때와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풍속 시기가 중복 무렵인 경우가 많아,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계곡이나 산청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습니다. 간혹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우리나라에 동서로 걸쳐져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하지만 보통은 장마가 끝나고 흔히들 말하는 불볕더위,.. 2022. 9. 27. 24절기 중 소서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네 번째 여름 절기인 소서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소서는 양력 7월 7일~8일 무렵으로, 장마철에 접어들며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소서 - 양력 7월 7일 또는 8일, 여름 더위의 시작 11번째 절기인 소서는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으며 음력으로 6월, 양력으로 7월 5일 무렵으로, '작은 더위'라는 이름답게 이 때부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름 장마철로 습도도 높고 비가 많이 내리는 날씨가 대부분입니다. 제철 여름 과일과 채소가 출하되는 시기이며, 밀, 보리도 수확이 끝나 이 시기에 먹게 되는데 바쁜 농사일이 대부분 지나가고 비가 오는 날이 많아 농사철 중에서는 제법 한가한 시기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먹었다고 합니다. 풍속과 음식 .. 2022. 9. 26. 24절기 중 하지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네 번째 여름 절기인 하지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하지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에서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이라는 점입니다. 하지 - 양력 6월 21일 ~ 22일, 낮이 가장 긴 시기 열 번째 절기로 망종과 소서 사이에 있으며 음력으로 5월, 양력으로는 대략 6월 22일 전후입니다. 천문학적으로 일 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로, 황도상 가장 북쪽에 위치하여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남중 고도가 가장 높아지게 된답니다. 남반구는 그 반대로 낮이 가장 짧고 남중 고도가 가장 낮은 날이 되지요.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이 날 일 년 중 낮이 가장 길어지게 됩니다. 풍속 장마와 가뭄을 대비해야 하는 시기로, 일 년 중 추수철과 더불어.. 2022. 9. 25. 24절기 중 망종음식, 풍속, 속담 24절기 중 세 번째 여름 절기인 망종의 풍속과 음식, 속담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망종은 양력 5월 20~22일경으로, 농경 사회에서는 씨 뿌리기가 진행되는 시기입니다. 망종 - 양력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아홉 번째 절기로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으며 음력 5월, 양력으로는 6월 6일 무렵입니다. 이 시기에는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 적당하며,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한창인 때라 농촌에서는 일 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기도 합니다. 풍속 지역별로 풍습이 조금씩 다른데, 전남 지역에서는 보리그스름(그을음) 먹기라는 풍습이 있습니다. 풋보리를 벤 뒤 그을려 먹으면 당해와 다음 해 보리가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이 날 보리에 밤이슬을 맞힌 뒤 다음날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 .. 2022. 9. 24.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37 다음